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독감 예방접종의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728x90

독감 대표 이미지


📌 감기와 독감, 엄연히 달라요!


감기와 독감은 원인균부터 다릅니다.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며, 주로 감염자의 재채기나 기침을 통해 폐와 기도에 침투합니다. 

 

반면 감기는 리노바이러스와 코로나바이러스 등이 원인이 됩니다.


독감에 아파하고 있는 모습
독감 증상


🤦‍♀️ 독감의 증상


독감의 증상은 바이러스 감염 후 1~4일 내에 발생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오한, 한기, 고열, 마른 기침, 인후통, 메스꺼움, 구토 등이 있습니다.


📋 독감 종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A, B, C형으로 나뉩니다. 각 형태의 특징과 발생 가능성을 알아봅시다.


✅ A형 독감

유행 가능성이 높고 증상이 가장 심한 독감 형태입니다. 동물에도 전파될 수 있고, 무기력감이나 급성 간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B형 독감

유행 가능성이 적으며 몇 년마다 발생합니다. 중이염, 폐렴, 간경변, 간암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C형 독감

증상이 가벼우며 발병 가능성이 작습니다.


🙋‍♂️ 감기, 잘먹야 빨리 낫습니다

 

천호엔케어 배도라지청, 10ml, 30개입, 1개

🕵️‍♀️ 독감 예방접종 궁금증


독감 예방접종 시기는 언제인가요?

독감은 12월에서 1월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하므로, 예방효과를 고려해 9월 하순부터 10월 중순까지, 늦어도 11월 안에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독감 예방접종은 매년 받아야 하나요?

독감 예방접종의 효과는 6개월 정도이며, 다양한 돌연변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매년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추천됩니다.

독감 예방접종 대상자는 누구인가요?
독감 예방접종은 특정 집단에게 특히 권고됩니다. 이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대상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 아스피린을 오래 복용하는 어린이
🔸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분들 (당뇨병, 간질환, 혈액질환 등)
🔸 만성 호흡기 질환을 앓고 있는 분들 (천식, 기관지확장증 등)
🔸 심혈관 질환을 앓고 있는 분들 (류마티스성 심질환, 고혈압 등)
🔸 65세 이상의 노인
🔸 의료 종사자 및 독감이 유행하는 시기에 임신할 것으로 예상되는 여성

 

🚩 이외에도 고위험군과 자주 접촉하는 집단에게 권고됩니다.



🙋‍♂️ 정부지원 독감 예방접종 지원사업


⭐ 정부에서는 어린이, 어르신, 임신부를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어린이

🔹 생후 6개월 ~ 13세 어린이(2010.1.1.~2023.8.31.)

 

(1회접종대상자)

2023.10.5.(목)~2024.4.30.(화)

 

(2회접종대상자)

2023.9.20.(수)~2024.4.30.(화)


👵 어르신

🔹 주민등록상 출생연도 기준 65세 이상(1958.12.31. 이전 출생자)

 75세 이상

2023.10.11.(수)~2024.4.30.(화)

 

 70~74세

2023.10.16.(월)~2024.4.30.(화)

 

 65~69세

2023.10.19.(목)~2024.4.30.(화)



👩‍🦰 임산부

🔹 임신부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임신 주수에 상관없이 접종 가능합니다.

 

🔹 산모수첩 등을 통해 임신여부를 확인한 임신부
➡ 임신여부 확인 가능한 산모수첩, 임신확인서 등 서류 제시(임신주수 무관)

 

2023.10.5.(목)~2024.4.30.(화)


✅ 지정의료기관 및 보건소 방문 전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가능 여부를 확인한 후 방문하세요!


🏣 접종기관

🚩 지정의료기관 및 전국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인플루엔자 독감 예방접종 지정병원 찾기


📑 실시기준

이전 절기 접종력과 상관없이 매년 불활성화백신(0.5㎖) 1회 접종합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http://www.korea.kr>